어제 저녁 도착한 맥북 하루 써보니 몇가지 생각할 거리가 생겼다.
- 웹 사이트가 표준을 지키는 것은 생각보다 중요하다.
- 아이폰에서 모바일 웹 브라우징을 할 때에도 느낀 점이지만 국내 많은 웹 사이트들이 MS, IE 기반이 아니면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다 .
- 기껏 정보를 찾아 자발적으로 웹사이트를 찾아간 유저를 실망시켜서는 곤란하다.
- 따라서 당신이 글로벌한 사업을 하고 있거나 해외로 진출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면 반드시 표준을 지켜주길 바란다. 혹은 맥 사용자를 배려하기 바란다.
- 당신이 한국에서만 사업을 한다해도 안심해서는 안된다. 사실 이 문제는 한국 내에서도 곧 닥칠 문제이다.
- 이미 웹 트래픽의 상당수가 모바일 기반으로 넘어가고 있고, 가트너에 따르면 2013년 모바일 트래픽이 데스크탑의 트래픽을 넘어설 것이라 하지 않는가?
- 아이패드를 비롯한 각종 패드류가 출시되고 아이폰4를 비롯한 정말 스마트한 스마트폰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. 이 많은 디바이스들은 표준을 지키지 않은 당신의 웹사이트를 제대로 표현해줄 방법이 없다.
- 결론적으로 표준을 지키지 않는 웹사이트는 조만간 큰 곤욕을 치룰 것이다.
- 설명 없이 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.
- 사실 맥북도 만만한 기기는 아니었다. 한영 전환을 찾느라고 한시간 가까이를 고생했으니.
- 그러나 그것은 윈도우에 익숙해진 탓일 뿐이다. 실제로 우리는 shift+space로 한영전환을 하던 때가 있었다.
- 컨버전스의 시대, 기능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.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섬세하게 진화하는 클라우딩 컴퓨팅의 시대다.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그것을 표현하고 구현하는 방법은 이전보다 쉬워져야 한다.
- 그렇지 않다면? 만일 당신의 제품이 1분짜리 작업을 하기위해 10분을 공부해야 할 정도로 복잡하다면, 그 제품은 곧 도태될 것이다.
- 제품의 외관이 주는 미려한 느낌도, 고객에게는 가치이다.
- 사실 나는 제품의 외관 따위는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했었다.
- 기능, 기능, 기능.
- 맥북이 내게 전해주는 느낌은 좀 다르다. 이 컴퓨터로 뭔가를 하면 조금 더 즐겁고 조금 더 괜찮은 결과물이 나올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.
- 그것은 단지 기분 탓이겠지만 같은 기능을 하는 도구라면, 좀 더 나은 결과가 나올 법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인지 상정이 아닐까?
- 그러나 이런 느낌은 경험해 보지 못하면 알 수 없다. 아이폰을 쓰기 전의 내게 맥북은 사치품이었을 뿐이다.
- 기능 주의자이며 현재도 Dell 노트북을 사용하는 아내의 첫마디는 “어? 이쁜데? 내꺼랑 바꿔야겠다”였다.
- 컴퓨터는 도구일 뿐이다.
- 컴퓨터로 할 수 있는 몇가지의 작업들이 있다.
- 문서를 만들고 영화를 보고 음악을 듣고 게임을 하고 인터넷을 하고(사실 인터넷에 거의 모든 작업들이 포함되어 있다)
- 그것들을 쉽고 편안하고 즐겁게 할 수 있으면 된다.
- GTD를 위한 도구를 선택할 때에도 어떤 도구를 선택할 지는 전적으로 그의 취향에 달린 것이다. 몰스킨 노트와 PDA와 스마트폰
- 맥킨토시와 노트북과 넷북과 태블릿, 어떤 도구를 선택하든 행하는 작업은 결국 비슷한 것이다.
- 우리는 중국집에서 짜장면만을 먹지는 않는다. 그런데 왜 컴퓨터 OS는 마이크로 소프트만을 고집하는 것인가?
인터넷 서비스 전문가. 특히 전자상거래, 디지털 컨텐츠와 마케팅에 특화되어 있고 세번째의 암과 싸우고 있는 cancer survivor입니다. 영혼의 평화와 건강에 관심이 많습니다.
핑백: Tweets that mention http://yoda.co.kr/wordpress/?p=3363utm_sourcepingback -- Topsy.com
역시 정확하게 잘 짚으십니다! 완전히 동감입니다.
익숙한 것을 버리기 싫어하는 겁쟁이라 그렇습니다. 써보면 참 편한데 말이죠.
맥을 쓰면 돈많고 허세부리는 사람정도로 치부하더군요.